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React] Udemy 강의 노트 2
    WEB Dev/StudyNote 2022. 11. 13. 18:21
    728x90

    섹션 2 : 자바스크립트 새로고침

     

    모듈 소개

    - 리액트 앱은 자바스크립트 ES6와 차세대 기능을 사용

    - 좀 이상해 보일 수 있음

    - 자바스크립트는 아주 빠르게 진화 중

     

    변수 let과 const 이해하기

    - 변수를 생성하는 방식

    - 변하지 않은 변수를 상수라고 함

    - var 대신 let, const 권장

    - let 수정할 수 있는 변수

    - const 수정할 수 없는 (절대 변하지 않는 상수) 변수

    - const에는 새로운 값을 할당할 수 없음 constant variable

    화살표 함수

    - 생성자 함수

    - 자바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또다른 구문

    - const 선언

    - const myFunction = () => { }

    - this로 인해 생성된 문제를 해결

    - this는 항상 원하는 객체를 보지 않지만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면 this는 원하는 객체를 바라보게 됨

    - 인수가 1개라면 ()는 생략할 수 있다.

    - 인수가 없으면 ()는 빈 상태로 두고 생략해서는 안된다.

    - 때에 따라 return을 제거해 화살표 함수를 짧게 축약할 수 있다.

    Exports와 Imports

    - 차세대 자바스크립트는 모듈 방식의 코드를 작성

    - 코드를 여러 개로 나누고 올바른 순서로 코드를 가져올 수 있다.

    - default 키워드 사용해서 export 하면 import 할 수 있다.

    - default 키워드 사용하면 언제나 파일에서 export default 한 것을 import 하게 된다.

    - default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import 한 파일에서 특정한 어떤 것을 정확하게 가리키기 위해 {}를 사용한다.

    - {}를 named export 라고 한다.

    - {} 안에는 ,를 이용해 여러 개를 불러올 수 있다.

    - 또는 as를 이용하거나 *를 이용하여 상수로 선언된 자바스크립트 자료형을 불러올 수 있다.

    클래스 이해하기

    - 객체를 위한 핵심 청사진

    - class 키워드로 정의된다. 

    - 프로퍼티와 메소드로 구성된다.

    - property는 클래스에 정의한 변수

    - method는 클래스에 정의한 함수

    - new 키워드로 class를 생성한다.

    - 클래스에서는 상속을 사용할 수 있다.

    - 가장 간단하게 프로퍼티 형태를 만드는건 construnctor 생성자 함수를 추가하는 것

    - 메소드는 메소드의 이름 다음에 중괄호를 넣어서 만든다

    - this 키워드로 프로퍼티를 설정

    - extends 를 이용해 확장할 수 있다.

    - 서브 클래스에서는 super 생성자를 호출해야 함

     

    클래스, 속성 및 메서드

    - 차세대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프로퍼티와 메소드를 초기화 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

    - 프로퍼티는 클래스와 객체에 추가되는 변수

    - 메소드는 클래스와 객체에 추가되는 함수

    - 프로퍼티와 생성자 함수를 설정하는 this 구문

    - 클래스에 바로 프로퍼티를 할당할 수 있다. (생성자 함수 호출 x)

    - 메소드는 값으로 함수를 저장하는 프로퍼티

    - 화살표 함수 사용 : 프로퍼티의 값으로 화살표함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this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.

     

    스프레드 및 나머지 연산자

    - 둘 다 '...' 로 생김

    - 스프레드 연산자는 모든 프로퍼티와 값을 꺼내서 복사한다.

    - 모든 원소와 프로퍼티를 가져와서 새 배열이나 객체에 전달한다.

    - 레스트 연산자는 함수에서 사용된다.

    - 인자로 ...를 붙인 배열이나 객체를 전달한다.

     

    구조분해할당(Destructuring)

    - 배열의 원소나 객체의 프로퍼티를 추출해서 변수에 저장하게 해준다.

    - 스프레드 연산자와 다르다.

    - 원소나 프로퍼티를 하나만 가져와서 변수에 저장한다.

     

    참조형 및 원시형 데이터 타입

    - number,string 등은 기본형이고 객체와 배열은 참조형이다.

    - 객체 person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, 상수 person에는 메모리에 있는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저장

    - person을 새로운 변수에 할당하면 포인터가 복사된다. 이 포인터는 메모리에 저장된 person을 바라본다.

    - 이 때 스프레드 연산자를 사용하면 복사본을 생성하기 때문에 포인터를 더이상 참조하지 않는다.

     

    배열 함수 새로고침

    - .map(()=>{})

    - 배열의 각 원소에서 함수가 실행된다.

    - 맵은 예전 값을 새 값으로 반환한다.

    728x90

    'WEB Dev > StudyNo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[React] Udemy 강의 노트 3-2  (0) 2022.11.25
    [React] Udemy 강의 노트 3-1  (0) 2022.11.23
    [React] Udemy 강의 노트  (0) 2022.11.08
    [CSS스터디] 3회 - flex와 grid  (0) 2022.09.15
    [CSS스터디] 2회 - CSS 레이아웃  (0) 2022.09.01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